<새는 알에서 나오려고 투쟁한다. 알은 세계이다. 태어나려는 자는 하나의 세계를 깨뜨려야 한다. 새는 신에게로 날아간다. 신의 이름은 압락사스.>

소설 <데미안>

독후감

 

 압락사스라는 존재는 무척이나 흥미로운 존재인데 신이면서 동시에 악마의 면을 갖춘 양가적인 존재인 것이다. 이는 데미안이 싱클레어에게 말한 ‘카인의 표식’과 연결된다. 소설 데미안에서 카인의 표식이란 무척이나 불경스러운 관념으로 표방된다. 동시에 그 부정적인 생각 자체가 단단해서 깨지지 않는 하나의 편견으로서 자리한다. 우리는 그 관념을 깨고 나가지 못하기 때문에 알 속에 갇혀있는 거라고 데미안은 주장하는 듯 하다.


 신이 절대적이며 선하다는 관념 또한 너무나 뿌리깊은 생각이기에 이것을 깨기 위해 앞세운 것이 압락사스라는 양가적 존재이지 않나 싶은 거다. 신은 선하다는 관념 그 자체. 인간은 의심하고 또 생각을 하고 깨우치기 때문에 성장한다. 그렇게 싱클레어는 피스토리우스라는 또다른 데미안을 만나고 압락사스에 대한 이해와 함께 생각의 폭이 넓어진다.
 우리가 무의식적으로 수용하는 지식들. 무비판적으로 받아드리는 것에 대한 생각.


 그것들을 포함한 알이라는 상징물이 헤르만 헤세가 보여주고자 하는 주제와 너무나 절묘하다는 생각을 한다. 이는 지식뿐만 아니라 현대 사회로 따지자면 특정 집단이나 소외 계층에 대한 편견과 오해가 될 수 있겠다. 
 어쩌면 우리는 모두 얇든 두껍든 무형의 껍질로 둘러쌓여 있다고 보여지기도 한다. 타인을 있는 그대로 보기보다는 본인만의 색안경이 비추는대로 보고 믿으려고 한다. 그렇기에 우리는 다투고 서로에 대한 오해를 하는 게 아닐까 싶은 거다. 


 본인만의 색안경과 시야만을 가진다면 보이는 폭은 좁아질 수 밖에 없다. 생각해보면 내 인생에도 데미안과 비슷한 사람들이 몇몇 존재했기에 나 스스로를 돌아보려는 노력을 하기도 하고 타인에 대한 편견을 버리고자 하는 마음이 있지 않나 싶다. 
 그럼에도 많이 부족하고 노력해야겠지만, 언젠가 이런 마음가짐을 놓지 않는다면 알의 세계 속을 깨뜨리고 나와 새롭게 태어나는 우리가 될 수 있지 않을까.

'독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삶으로부터 도망치고 싶을 때  (0) 2023.01.28

+ Recent posts